1. Introduction
- Web Scraping을 잘하기 위해선 OSI(Open Systems Interconnection) 7 Layer에 대한 개념은 인지하고 있어야한다.
2. OSI 7 Layer
2.1. Physical Layer
- 실제로 데이터를 0과 1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.
- 하드웨어(케이블, 리피터, 허브...) 중심이다.
- 데이터가 전송되는 가장 하위 레벨이며, 실제 물리적인 장비가 여기에 해당한다.
2.2. Data Link Layer
- Data link layer는 local network의 두 노드(Computer -- Router)간에 정보가 전송되는 방식을 지정한다.
- 이 계층은 단일 전송의 시작과 끝을 정의하고, 전송이 손실되거나 왜곡된 경우 이를 수정해준다.
- 해당 계층에서 패킷은 "digital envelope"로 감싸지는데, 이를 프레임이라고 정의한다.
- 즉, Data Link Layer는 Physical layer에서 올라온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재구성하는 역할을 한다.
2.3. Network Layer
- Network Layer는 패킷 스위칭, 즉 '인터넷'이 이루어지는 곳이다.
- 해당 Layer는 컴퓨터의 패킷이 라우터를 통해 전달되어 바로 옆 네트워크 너머의 장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.
- TCP/IP의 IP부분이 포함된다.
2.4. Transport Layer
- Transport layer는 컴퓨터 자체만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,
-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특정 서비스나 applicaiton을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application을 연결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.
- TCP, TDP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2.5. Session Layer
- Session Layer는 두 application 간의 session opening과 session closing을 담당한다.
- 해당 session에선 전송된 데이터와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, 컴퓨터가 누구와 통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- 예를 들어, 사용자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거나, 데이터베이스 연결 유지등에 사용된다.
2.6. Presentation Layer
- 데이터 형식 변환, 암호화/복호화, 압축을 담당한다.
- 다양한 시스템 간의 데이터 표현 차이를 해결할 수 있다.
- 예를 들어, JPG, MP4, PDF 같은 파일 포맷 처리가 여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.
2.7. Application Layer
- Application Layer는 presentation layer에서 인코딩한 데이터를 해석하여 application에 적절하게 사용하게 해준다.
- presentation layer는 마치 사물을 변환하고 식별하는 데 관여한다면,
- application layer는 해당 사물을 '실행'하는 데 관여한다고 생각하면 좋다.
'DS Study > Web Scrap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 Scraping] [3.2] Regular Expressions (0) | 2025.03.26 |
---|---|
[Web Scraping] [3.1] BeautifulSoup (HTML Parsing) (0) | 2025.03.26 |
[Web Scraping] [2.2] Introduction to BeautifulSoup (0) | 2025.03.25 |
[Web Scraping] [2.1] urllib (파이썬 라이브러리) (0) | 2025.03.25 |
[Web Scraping] [1.2] HTML,CSS (0) | 2025.03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