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S Study

1.Introduce MNIST - MNIST 데이터 셋은 0부터 9까지의 손글씨 이미지로 구성- 훈련 데이터 60,000장 / 테스트 데이터 10,000장- 각 데이터는 이미지와 라벨로 이루어짐- 각 이미지는 28 * 28 해상도의 흑백사진- 각 픽셀은 0~255로 밝기표현이 되어있음 (0: 검정 / 255: 흰색) 2. MNIST 데이터 출력- MNIST라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알아봤다면, 한번 실제로 출력해보자.https://github.com/WegraLee/deep-learning-from-scratch  GitHub - WegraLee/deep-learning-from-scratch: 『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』(한빛미디어, 2017)『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』(한빛미디어, 2017). ..
1. 다차원 배열의 계산1.1. 다차원 배열- 다차원 배열은 기본적으로 숫자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. - 간단히 배열이란 직사각형의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만일 N차원으로 나열된 것이라면 N차원 배열이라고 정의한다.- 특히 2차원 배열은 행렬(Matrix)라고 부르고, 가로방향을 행, 세로 방향을 열이라고 정의한다. cf) 3차이상인 배열은 텐서(Tensor)라고 부른다. - 간단한 코드 예제를 봐보자. 1.2. 행렬 곱 - 이를 예제와 함께 보면 다음과 같다.- m x n 행렬과 n x l행렬의 곱은 m x l 행렬이 된다.  - 행렬 곱은 numpy에서 np.dot()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. ex)  2. 신경망에서의 행렬 곱 - 신경망과 행렬곱은 무슨 연관이 있을까? - 다음과 같이 신..
0.Review- [1] 퍼셉트론에서 설명한 퍼셉트론이 다음과 같은 식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.- 임계값 theta를 우변으로 한번 넘겨보자. - 여기서 b는 편향(bias)를 의미한다즉, b = -theta 를 의미한다. /  2. 활성화 함수(Activation Function)퍼셉트론 식에서 Heaviside Function을 이용해주면 다음과 같이 식 변형이 가능하다. cf) Heaviside Function?- 즉, h() 안에 있는 수치에 따라서 Return 값이 0 또는 1이 결정된다.- 여기서 h()를 활성화 함수(Activation Function)이라고 정의한다. - 이를 신경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 - 밑시딥 1 에 나온 더 다양한 활성화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. 2.1. 시그모이드..
1. 퍼셉트론- 다수의 신호를 입력 받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체계를 의미- 퍼셉트론 신호는 흐름을 만들고 정보를 앞으로 전달해줌- 퍼셉트론의 OutPut은 1/0 두가지 논리값을 가짐(1: 전류흐름 / 0: 전류 흐름X)- 다음은 퍼셉트론의 구조를 의미변수 설명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x1,x2 : inputw1,w2 : 가중치(weight)y : Output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해..
23학번이수현
'DS Study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9 Page)